티스토리 뷰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말하는데, 이는 평생교육바우처, 기초생활보장제도 등 각종 복지정책에서 수급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가구원수별 및 비율별 중위소득을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_중위소득_썸네일
23년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 뜻

국민을 총 100명이라고 가정하고, 소득에 따라 일렬로 줄을 세웠을 때 딱 중간인 50번째 사람의 소득을 '기준 중위소득'이라고 말합니다. 

 

매년 통계청의 표본조사를 통해서 정의되고 발표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소득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 소득 등을 포함합니다. 

 

소득에 따른 복지혜택등을 제공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이 퍼센트(%)입니다. 중위소득 100%는 50번째 소득 순위를 뜻합니다.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기준 중위소득
100%
2,077,892원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각 급여별 선정기준 기준 중위소득

교육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생계급여별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대비 일정 비율로 적용됩니다.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1,038,946원 1,728,077원 2,217,408원 2,700,482원 3,165,344원 3,613,991원
주거급여
중위소득 47%
976,609원 1,624,393원 2,084,364원 2,538,453원 2,975,423원 3,397,151원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831,157원 1,382,462원 1,773,927원 2,160,386원 2,160,386원 2,891,193원
생계급여
중위소득 30%
623,368원 1,036,846원 1,330,445원 1,620,289원 1,620,289원 2,168,394원

교육급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대비 50%, 주거급여는 47%, 의료급여는 40%, 생계급여는 30% 이하를 만족해야 합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표

기준 중위 대비 일정 비율에 따른 중위소득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180% 3,740,206 6,221,079 7,982,669 9,721,735 11,395,238 13,010,366
150% 3,116,838 5,184,233 6,652,224 8,101,446 9,496,032 10,841,972
120% 2,493,470 4,147,386 5,321,779 6,481,157 7,596,826 8,673,577
100%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68 7,227,981
80% 1,662,314 2,764,924 3,547,853 4,320,771 5,064,550 5,782,385
60% 1,246,735 2,073,693 2,660,890 3,240,578 3,798,413 4,336,789
50% 1,038,946 1,728,078 2,217,408 2,770,482 3,165,344 3,613,991
47% 976,609 1,624,393 2,084,364 2,538,453 2,975,423 3,397,151
40% 831,157 1,382,462 1,773,926 2,160,386 2,532,275 2,891,192
30% 623,368 1,036,847 1,330,445 1,620,289 1,899,206 2,168,394

 

청년도약계좌의 기본 지원 조건이 되는 중위소득 180%를 보면 1인 가구 기준으로 세전 370만 원 이하의 청년은 지원가능합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청년도약계좌 출시 전 알아야 할 자격조건 및 상세혜택

2023년 정부에서 만 19세 ~34세 청년에게 최대 5천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6월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의 자격조건, 혜택, 신청기간 등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uick-to-perform.com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 문제점 총정리

만 19세 이상 성인이면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준 중위소득 65% 이하인 가구의 구성원에 해당한다면 평생교육 바우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평생교육 바우처 신청자격, 지원내용, 사

quick-to-perform.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