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대보험요율2

2023년 급여명세서 자세히 살펴보기 2023년 4대 보험 요율이 변경되면서 급여의 실수령금액도 변경되었습니다. 급여의 지급내역과 공제내역이 기재되어 있는 급여명세서(임금명세서)를 자세히 살펴보며 올해는 어떤 점이 작년과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4대 보험요율 알아보기 ✅2023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하기 임금명세서 교부의무 근로기준법 제48조의 개정에 따라 21년 11월 19일부터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하는 때에는 근로자에게 임금명세서를 서면으로 교부해야 합니다. 임금명세서 교부의무는 근로자 1인 이상의 모든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근로자는 정규직, 기간제, 단시간 근로자, 일용근로자 모두 포함됩니다. 임금명세서 기재사항 임금명세서에는 성명, 임금지급일, 임금계산기초사항, 임금 항목별 금액, 항목별 계산방법, 임금공제가 기재되어 있어.. 2023. 3. 8.
2023년 4대보험 요율표 비교정리 이전 글에서 2023년 최저임금으로 계산한 월급의 실 수령금을 계산하면서 2023년 4대 보험요율에 대해서 간단히 기재했었습니다. 아직 2022년이지만 2023년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근로자라면 가계에 중요한 급여에 큰 영향을 미치는 4대 보험의 요율에 대해서 알고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설명해드리려 합니다. 4대 보험 요율표 비교 (22년 VS 23년) 2022년 기준의 요율표 2022년의 4대 보험 요율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보수월액 기준 요율 세부사항 근로자 부담 사업주 부담 국민연금 4.5% 4.5% 만 60세미만의 근로자 가입 건강보험 3.495% 3.495%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12.27% (50%씩 부담) 고용보험 0.9% 0.9%+@% 만 65세미만의 근로자 가입 사업주는 인.. 2022.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