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이라면 휴가만 손꼽아 기다립니다. 이번 포스팅은 몰라서 못쓰는 직장인이 많다는 법정 휴가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연차 휴가 근로자라면 당연히 지급되는 1년 단위의 유급 휴가를 말합니다. 조건 🔸1년 중 80% 이상 출근한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의 사업장의 구성원일 것. 🔸법정 공휴일을 연차로 대체할 수 없음.(근로기준법 제55조 2항) 🔸관련 조항 위반 시 2년 이사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음. 휴가일수 ✔️1년 미만 근로자 :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 부여 ✔️1년 이상 3년 미만 근로자 : 매년 15일의 유급휴가 부여 ✔️3년 이상 근로자 : 매년 15일의 유급휴가 부여 + 2년마다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 부여 ✔️가산한 휴가일 포함 1년 내 총 휴가 부..

정부에서 제공하는 육아 관련 수당은 첫만남이용권 바우처, 부모급여, 아동수당, 영아수당, 양육수당 등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본인이 제공받을 수 있는 전반적인 육아 관련 수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수당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영아수당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중 가정보육을 하는 0~23개월 아동에게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수당은 30만 원입니다. 부모급여 2021년까지 혜택 받던 양육수당, 2022년까지 혜택 받던 영아수당으로 지급하던 수당이 2023년부터 부모급여로 대체되어 운영 중입니다. 부모급여는 출생연도와 상관없이 만 0세에서 만 1세(0~23개월)까지 지급하는 수당입니다. 2022년 2023년 2024년 만 1세 미만 30만 ..

2024년 최저임금이 시급 9,860원으로 결정되어 고시되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모의계산기로 바로 최저임금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최저임금 최저시급 인상에 따른 월급 계산과 실수령액 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최저임금 2024년의 최저임금은 9,860원입니다. 2023년 최저임금과 비교해서 2.5% 인상된 금액입니다. 2023년과 비교한 2024년 최저임금 연도 시급 일급 (일 8시간 기준) 월급 (주 40시간/월 209시간 기준) 전년대비 인상율 2023년 9,620원 76,960원 2,010,580원 5.0% 2024년 9,860원 78,880원 2,060,740원 2.5% 2024년의 최저임금은 2023년과 비교해서 2.5% 정도 인상된 금액으로 ..

7월 1일부터 영화관람료에 대한 문화비 소득공제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문화비 소득공제가 무엇인지, 공제 대상자, 공제율 및 한도, 영화관람료 소득공제의 적용범위 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문화비 소득공제란 문화비 소득공제란, 근로소득자가 신용카드 등으로 도서, 공연티켓, 박물관 및 미술관의 입장권 구입, 신문 구독료, 영화관람료로 사용한 금액에 대하여 전통시장, 대중교통 포함 300만 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를 해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 문화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서 구입비 ISBN 979, 978로 시작되는 도서 (잡지류 제외)와 ENC이 있는 전자책, 중고책(개인 간 거래 제외)이 해당됩니다. 단, 도서와 전자책의 대여비, 문구 등과 결합된 도서..

정부에서는 만 40세 이상의 중장년층에게 전직 및 재취업을 지원하는 여러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3가지의 정부지원을 소개해드립니다. 신중년 특화과정 👉입학자격 : 만 40세 이상의 미취업자 👉교육분야 : 설비관리, 건설기계, 공조냉동, 전기설비, 특수용접, 자동차복원, 시니어헬스케어, 패션제품 생산 등 신중년 특화과정의 혜택 등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려면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신중년특화과정으로 재취업 하기 만 40세 이상의 중장년층이라면 정부에서 전직, 재취업을 지원하는 '신중년특화과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전국 35개 캠퍼스에서 2,50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한다고 하니 상세한 내용 확인 quick-to-perform.com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사업 👉지원..

정부에서는 40세 이상의 중장년과 기업에게 중장년 종합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장년내일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재취업을 준비하는 40세 이상 또는 퇴직을 앞두고 있는 퇴직예정자, 중장년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라면 지원 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중장년내일센터 이외 중장년의 정부지원을 확인하려면 아래링크 통해서 하시기 바랍니다. 중장년내일센터의 운영기관, 지원대상, 지원내용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중장년내일센터 지원대상 만 40세 이상의 중장년의 재직자 및 퇴직예정자, 구직자 및 사업주는 중장년내일센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기관 : 전국 31개소(민간센터 19개, 노사발전재단 12개) 중장년내일센터 신청방법 중장년내일센터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다면 중장년내일센터에 직접 방..

경력 3년 이상 또는 전문자격증을 소지한 은퇴한 중년이시라면 정부에서 운영하는 '신중년일자리사업'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모집인원 및 업무 내용은 지자체별로 상이하여 놓칠 수 있으니 빠른 신청 바랍니다. 신중년 일자리 사업이외의 정부 지원을 확인하려면 아래 링크를 통해서 하시기 바랍니다.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의 대상, 내용 등은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사업 대상 자격 정부에서는 만 50세 이상 70세 미만의 퇴직전문인력에게 공공일자리를 제공하여 일경험 및 민간 일자리로의 재취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해당분야의 경력이 3년 이상 되거나 전문 자격을 소지한 분이 대상입니다. 활동분야 경영전략, 인사노무, 마케팅홍보, 재무회계금융, 사회서비스, 문화예술, 교육연구, 상담멘토링 등..

만 40세 이상의 중장년층이라면 정부에서 전직, 재취업을 지원하는 '신중년특화과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전국 35개 캠퍼스에서 2,50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한다고 하니 상세한 내용 확인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신중년특화과정이외의 정부 지원을 확인하려면 아래 링크를 통해서 하시기 바랍니다. 신중년특화과정의 입학자격, 교육내용, 선정방법 등을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중년특화과정 입학자격 만 40세 이상의 미취업자(실업자)라면 신중년특화과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중년특화과정 교육내용 교육분야 설비관리, 건설기계, 공조냉동, 전기설비, 특수용접, 자동차복원, 시니어헬스케어, 패션제품 생산 등 전국 35개 캠퍼스에서 2,50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합니다. 과정 ✅3개월 과정 : 빠르게..